에이전트와 상호 작용하려면 크레딧이 필요합니다. 크레딧을 낭비하지 않으려면 간단한 프롬프트로 시작하고, 올바른 모델을 선택하며, 프로젝트를 미리 계획하고, Remix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세요. 또한 에이전트와 대화할 때의 전략도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기본부터 시작하기
간단하게 시작: 먼저 “Sheets”, “Docs”, **“Engineer Mode”**와 같은 가벼운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MGX의 기능을 이해하고 관련된 사용 사례를 점차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 반복:
최소기능제품(MVP)을 먼저 만들고 단계별로 반복 개발합니다.
Remix는 버전 요약을 활성화해 크레딧의 급격한 소모를 방지합니다.
적절한 LLM 선택
기본 작업: 데이터 분석, 간단한 프로그래밍, 일반 Q&A와 같은 기본 작업에는 DeepSeek-chat이 비용이 낮아 적합합니다.
복잡한 작업: 최적의 결과가 필요한 복잡한 작업에는 Anthropic Claude Sonnet 모델을 권장합니다. 단, 크레딧 소모가 더 큽니다.
향후 전망: 여러 LLM의 기능을 통합하여 성능과 크레딧 효율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Auto Mode가 앞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대화 길이 관리
대화가 길어질수록 크레딧 소비도 증가합니다. 대화를 짧게 유지하면 크레딧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최소화해 보세요.
기본적이고 프로젝트와 관련 없는 Q&A는 별도의 채팅을 만드세요.
요구 사항이 명확해지면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 새 채팅을 시작하여 빌드하세요.
MVP의 세부 정보를 README.md 파일에 정리하고, 코드를 GitHub·GitLab 또는 로컬에 보관한 후, 에이전트와 새 채팅을 시작해 기능/모듈을 한 번에 하나씩 추가하세요.
요구 사항을 명확히 하기
철저한 계획: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계획하고 필요한 세부 정보를 명확히 작성하세요.
변경 사항 일괄 요약: 동일한 모듈을 수정할 때 모든 변경 사항을 한 번의 요청으로 요약하여 반복을 피하세요.
기술 단축키 사용: 기술 사용자는 #을 사용해 파일을 지정하거나 편집할 특정 내용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대화하기
반복 피하기: 동일한 문제를 대화 중 여러 번 되풀이하지 않도록 하세요.
복잡도 분해: 복잡한 작업은 직접 나누어 단계별로 에이전트를 안내하세요.
상호 작용 횟수 제한: 한 번의 대화나 프로젝트 내에서 상호 작용 횟수를 제한하세요.
장문 작업 피하기: 전체 블로그 글과 같은 장문의 작성 작업은 크레딧을 많이 소모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범 사례 개발
템플릿 사용: 사용자 사례 템플릿을 활용해 빠르게 프로젝트를 설정하세요.
파일 상호작용 효율화: 예를 들어, David가 JSON·Markdown 등 형식화된 파일을 출력하고, Alex가 새 채팅에서 이 파일을 기반으로 빌드하면 불필요한 처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모듈 단위 개발: 대규모 프로젝트는 더 작은 모듈로 나누어 각 모듈을 개별 채팅에서 완성하고, GitHub·GitLab 또는 로컬 도구를 사용해 통합합니다.
Remix
과거 버전을 리믹스하여 개발을 계속할 수도 있습니다.
Remix의 세 가지 방법
채팅 상자의 Remix 아이콘을 직접 클릭합니다.
인터랙티브 진행 바에서 특정 버전을 선택해 원하는 체크포인트에서 리믹스합니다.
페이지 상단의 Versions 섹션으로 이동해 과거 반복 작업을 살펴보고 원하는 버전을 리믹스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Remix 문서를 참고하세요.